망막센터

망막

망막은 눈 속에 있는 신경층입니다.
사진기의 필름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빛을 감지하는 많은 시세포와 이를 뇌로 전달하기 위한 신경섬유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사진을 찍을 때 필름이 안좋으면 사진이 잘 나올 수 없는 것처럼 눈 또한 망막이 나쁘면 결코 좋은 시력을 얻을 수 없습니다.

황반변성

망막의 가장 중심에 있는 황반에 변성이 오는 질환입니다.
황반은 작지만 민감한 부위로 사물의 중심을 볼 수 있게 하고 사물을 인식해 색을 구별하는 등 시력의 90%를 담당합니다.
65세 이상에서 실명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원인이며 어느 정도 진행되면 운전과 전화 등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겪게 됩니다.

황반변성 증상

선이 굽어져 보이거나 시야가 흐려보이는 등 이상한 시각을 경험하게 됩니다.
하지만 별다른 통증은 없으며 심할 경우 사물의 가운데에 영구적으로 검은점이 생기게 됩니다.

황반변성 종류

건성(비삼출성) 황반변성
황반변성의 90%에 가까운 비율을 차지합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시력이 차차 떨어질 수 있으므로 정기적으로 경과관찰을 해야합니다. 

습성(삼출성) 황반변성
병변의 위치가 황반 아래 또는 황반 근처에 나타날 경우 초기부터 시력저하가 나타납니다.
진행 속도가 매우 빨라 방치해둘 경우 많은 환자들이 진단 후 2년 내에 실명에 이르게 됩니다.

황반변성 치료

약물 치료
항산화제 AREDS2 기준에 의한 항산화제를 복용합니다.

주사 치료
시력 유지 및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나, 효과는 4~6주 정도 지속되므로 반복치료가 필요합니다.
습성 타입일 경우 안구내 항혈관내피세포(Anti-VEGF antibody) 성장인자를 주사합니다.

당뇨망막변증

망막의 미세혈관이 손상되어 시력에 이상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당뇨병 경력이 15년 전후에서의 발병율이 60~70%에 이르고, 30년 이상에서는 90%가 발생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자각증상이 없어 조기발견을 위한 정기적인 안과검진이 매우 중요합니다.

당뇨망막변증 증상

초기에는 증상이 없거나, 눈앞에 날파리가 날아다니는 듯한 비문증을 느낄 수 있으며 증상이 진행될수록 시력 저하가 나타나게 됩니다. 

당뇨망막변증 종류

비증식성 당뇨망막병증
당뇨망막병증의 90%를 차지하며, 망막의 핵심 부위인 황반에 출혈이나 부종이 생기면서 시력이 나빠집니다.
대부분의 비증식성은 치료가 필요 없지만 황반부종으로 이어지는 경우에는 반드시 치료해야 합니다.

증식성 당뇨망막병증
약해진 망막 혈관을 보완하기 위해 새로운 혈관을 만들어내는 단계입니다. 병이 진행될수록 출혈이 반복되고 섬유조직이 수축되어 망막이 구겨지거나 망막이 떨어지는 망막박리가 초래되기도 합니다.

당뇨망막변증 치료

항체 주사 치료
출혈 위험이 있는 비정상적인 신생혈관을 생성하는 항체를 눈 속에 주사하여 혈관의 출혈을 막고 생혈관 생성 자체를 근본적으로 억제시켜 시력을 회복하게 하는 치료방법입니다.
주사치료의 종류에는 항체성분인 루센티스, 아바스틴, 아일리아 등과 스테로이드 성분인 오저덱스, 트리암시놀론 등을 사용합니다.

레이저 범망막광응고술
망막의 산소요구량을 줄여서 비정상적인 신생혈관을 줄이기 위해 주변부 망막에 레이저 치료를 합니다.
시술시에는 통증이 동반되기도 하며 시력에 변화가 생길 수 있지만 가장 기본적인 치료방법입니다.
 
유리체절제술
혼탁해진 유리체를 제거하고 맑은 액체로 바꾸는 동시에 망막에 생긴 새로운 혈관을 제거하는 수술입니다. 
섬세하고 정교한 수술인 만큼 망막에 손상을 입히지 않도록 경험이 풍부한 의사에게 수술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망막박리

망막층이 찢어져 눈 속의 수분이 새어 들어가 망막의 일부 또는 전부가 안구벽과 분리되는 현상입니다.
망막이 마치 물집처럼 들뜨게 되면 까맣게 보이며, 망막 전체로까지 확대되어 실명을 초래합니다.

망막박리 증상

초기에는 눈앞에 날파리가 날아다니는 것처럼 보이는 비문증과 을 감아도 빛이 어른거려 보이는 광시증을 느낄 수 있습니다. 심할 경우 사물이 일그러지고 시력이 저하됩니다.

망막박리 종류

열공 망막박리
망막에 구멍이 생겨 액화된 유리체가 망막 아래로 스며들어 분리되는 현상입니다. 부분의 망막박리는 열공성 망막박리입니다.

견인 망막박리
망막의 안쪽으로 당기는 힘에 의해 망막이 분리되는 현상입니다.
증식당뇨망막병증, 증식유리체망막병증, 미숙아망막병증이 주요 원인입니다.

삼출 망막박리
망막 아래에 액체가 고여 분리되는 현상입니다.
황반부에 퇴행·염증·감염성 질환이 생길 가능성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망막박리 치료

예방적 치료
망막에 열공이 발생하였으나 망막박리를 일으키지 않은 경우 즉각적인 치료로 예방할 수 있습니다.
냉응고술 또는 레이저로 망막열공을 치료하여 진행을 예방합니다.
 
수술적 치료
일단 망막박리가 일어나면 수술적인 방법만으로만 치료가 가능합니다.
수술에는 공막돌륭술, 유리체 절제술, 기체망막유착술 등이 있습니다.